1. 지역문화예술특성화지원 사업
추진방향
사업개요
추진절차
추진일정
추진시기 | 과정 | 내용 |
---|---|---|
′22. 1. ~ 2. | 사업공모 접수 | 5개 사업공모건에 대한 접수 |
′22. 1. ~ | 찾아가는 설명회 개최 | 지원율 저조지역 대상 찾아가는 서비스 추진 * 별도 접수를 받아 추진 |
`22. 2. ~ | 사업심의 | 서류, 현장, 인터뷰 심의 등 심의추진 |
`22. 2월 말 | 결과발표 | 누리집,국가문화예술지원시스템(ncas) 등을 통해 발표(심의위원, 심의평 공개) |
`22. 3. ~ | 선정단체 워크숍 및 컨설팅 | 문화예술단체 역량강화 워크숍 및 컨설팅(사업계획 보완 및 방향 제시) |
`22 3. ~ 10. | 보조금 교부 | 보조금 교부(3천만원 이상시 2차 분할 지급) |
`22. 6. ~ 12. | 전문가 현장평가 | 문화예술 전문가 평가 추진 |
`22. 5. ~ 12. | 사업모니터링 | 사업별 모니터링 |
`22. 8. ~ | 중간 성과공유 워크숍 | 중간성과 공유, 하반기 사업수행 컨설팅 등 |
‘22. 10. ~ | 사업개선을 위한 전문가 자문회의 | 2023년 지원사업 설계를 위한 전문가 의견 수렴 및 자문회의 추진 |
`22. 9. ~ 10. | 사업개선을 위한공청회 | 사업개선을 위한 문화예술단체(개인)의견 수렴 |
`22. 11. ~ 12. | 성과공유 워크숍 | 2022년 지원사업 성과공유회 |
`22. 12. ~ | ′23년 지원사업 설계 확정 | 2023년 지원사업 공모(안) 마련 및 공고 |
1-1. 지역문화예술 육성
사업개요
세부내용
분야 | 사업내용 |
---|---|
3개 분야 | |
시각예술 |
▶ 단체(개인)의 시각예술 창작 및 전시활동
▶ 미술, 공예, 서예, 사진, 영상, 조각, 설치 등
|
공연예술 |
▶ 단체(개인)의 창작 공연활동
▶ 한국음악(국악), 연극, 무용, 음악 등
|
문학 |
▶ 단체(개인)의 집필 및 문학활동을 통한 창작 발간(출판)사업
※ 창작발간 결과물은 사업종료 후 3권 제출(전남도립도서관 기증)
|
1-2. 공연작품제작
사업개요
세부내용
구분 | 필수사항 | 비고 |
---|---|---|
1년차 |
|
출연진, 스탭 등 공연 관계자 중, 중·고·대학생(대학원생 제외)의 수가 30%를 초과할 수 없음 ※ 심의 및 공연 전·후, 참여인력 명단 및 이력 재단 제출 필수 |
2년차 |
|
1-3. 창작공간활용
사업개요
세부내용
필수 프로그램 |
---|
1. 결과발표회 : 연구 발표, 결과물 전시 등의 성과공유회
2. 역량강화교육 : 작가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 3. 주민연계활동 : 지역민과 함께하는 프로그램 4. 아카이브활동 : 위 활동들에 대한 기록 작업 |
1-4. 청년예술가 활동
사업개요
세부내용
구분 | 공통 | 단계별 | 필수사항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창작준비 (1년차) |
|
|
지정 멘토 프로그램 진행 | 창작단계 시 창작발표 재단·멘토와 협의를 통해 진행 가능 |
창작발표 (2년차) |
|
1-5. 사회적 가치지향 프로젝트(22년 신규사업)
사업개요
세부내용
필수사항 | 비고 |
---|---|
|
|